퀀트(Quant) 전략은 데이터 분석과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금융 시장에서 일관된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임. 이러한 전략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지표들이 활용되며, 대표적으로 CAGR, Sharpe Ratio, MDD가 있음. 각 지표의 의미와 중요성은 다음과 같음.
1. CAGR (Compound Annual Growth Rate)
: 투자 자산이 일정한 비율로 성장했다고 가정할 때의 연평균 수익률을 나타내는 지표
여기서 n은 투자 기간(년 단위)
주의할 점:
- CAGR은 수익의 변동성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, 변동성이 큰 자산에 대해 과신해서는 안 됨.
- 단기 수익률을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,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함.
2. Sharpe Ratio
: 위험 대비 초과 수익률을 측정하는 지표로, 투자자가 위험(변동성)을 감수하고 얻은 초과 수익을 평가함.
주의할 점:
- 모든 변동성을 위험으로 간주하기 때문에, 상승 변동성까지 부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한계가 있음.
- 비교 대상 자산 간의 리스크 수준이 다를 경우 단순 비교는 위험할 수 있음.
예시:
전략 A와 전략 B의 수익률이 각각 20%와 15%라고 가정할 때, 표면적으로는 전략 A가 더 우수한 투자 전략처럼 보일 수 있음. 그러나 수익률만으로 전략의 우수성을 판단하기는 어려움. 투자자가 감수한 위험 대비 수익률을 평가하려면 Sharpe Ratio를 함께 고려해야 함.
무위험 자산의 수익률이 5%이고, 전략 A의 표준편차가 10%, 전략 B의 표준편차가 5%일 경우, 각 전략의 Sharpe Ratio는 다음과 같음:
- 전략 A: (20% - 5%) / 10% = 1.5
- 전략 B: (15% - 5%) / 5% = 2.0
이 결과를 통해 전략 B가 전략 A보다 위험 대비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음. 즉, 전략 B는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(위험)으로 더 효율적인 수익을 창출한 전략임.
따라서 동일한 수익률을 가진 전략들 간 비교 시에도 Sharpe Ratio가 높을수록 더 리스크에 잘 대비한 우수한 전략으로 평가할 수 있음.
3. MDD (Maximum Drawdown)
MDD는 최대 낙폭을 의미하며, 특정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가 가장 크게 하락한 수준을 측정함. 이는 투자자에게 얼마나 큰 손실을 경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.
주의할 점:
- 단기 급락을 강조함으로써, 장기 수익성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.
-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므로, 미래 위험을 정확히 예측하지는 못함.
- 그럼에도 불구하고, 투자자가 실제로 겪는 심리적 부담을 잘 반영하므로 중요함. 기본적으로 수익보다 손실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.
예시:
- 기본 전략: 연 수익률 18.29%, 최종 수익률 1732.86%, MDD 60%
- 위험 대비 전략: 연 수익률은 낮지만 MDD는 3분의 1 수준
→ 장기적으로 수익률은 낮더라도, 감내 가능한 손실 범위 내에서 전략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.
투자 관점에서의 시사점
- CAGR, Sharpe Ratio, MDD는 각각 수익성과 리스크를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는 지표임.
- 이들 지표는 단독으로 해석하기보다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전략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임.
- 높은 CAGR을 기록한 전략도 MDD가 높으면 심각한 리스크를 동반할 수 있음.
- Sharpe Ratio가 낮다면 기대 수익률에 비해 과도한 변동성이 존재할 수 있음.
- 투자자는 자신의 리스크 감내 수준과 목표 수익률을 명확히 한 뒤, 이에 부합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.
- 특히, 불확실성이 큰 시장 환경에서는 안정성을 중시하며 MDD와 Sharpe Ratio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.
'Study > Fina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inance] 투자 지표 정리 - Sharpe, Sortino and Carmlar Ratios, MDD (3) | 2024.10.18 |
---|---|
[Finance] 주식 모멘텀 (7) | 2024.09.20 |
[Finance] 재무제표 용어 설명 (8) | 2024.09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