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무제표 분석에 앞서, 기본 재무제표 이해를 위해 간단하게 재무제표를 분석해보았다. Earning 예측을 위해 재무제표를 사용하는 선행연구 논문에서 Balance Sheet와 Income Statement만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므로, 두 가지 표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공부하였다.
재무제표란?
: 기업이 다양한 정보이용자에게 경제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업의 재무상태, 경영성과, 재무상태 변동에 대한 정보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회계보고서
- 기업경영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되는 재무제표 및 부속명세서에는
- 기업의 일정 시점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상태표,
- 일정 기간 동안의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손익계산서,
- 일정 기간 중의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현금흐름표,
- 배당이나 적립 등 이익잉여금의 처분내용을 나타내는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,
- 일정 기간 동안 제품을 제조하는 데 든 원가를 표시한 제조원가명세서 등이 있다
재무상태표 (Balance Sheet)
- 일정시점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 (자산, 부채, 자본)
- 자산 = 부채 + 자본
재무상태표 용어 설명
[ 자산 (Assets) ]
- 유동자산 ( Current Assets ) : 1년 이내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으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분류
- 현금 및 현금성 자산 ( Cash and cash equivalents ) : 현금, 수표, 당좌예금 등
- 유가증권 ( Marketable securities ) : 재산적인 권리를 표시한 증서로서 화폐, 상품 증권, 어음, 수표, 주식 채권 등
- 매출채권 ( Accounts receivable ) :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권
- 재고자산 ( Inventories ) : 유동자산 중 판매과정을 통하여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
- 비유동자산 ( Non - current Assets ) : 기업의 자산 중 유동성을 충족하지 않는 모든자산을 말하며, 1년 이상 기업 내에 체류하는 자산
- 투자자산 ( Investments ) : 기업 본래의 사업목적이 아닌 타기업을 지배, 통제하거나 유휴자금의 증식을 목적으로 장기간 소유하는 자산. 장기성 예금, 투자유가증권, 투자부동산 등
- 유형자산 ( Tangible asset ) : 토지와 1년 이상의 내구성을 가진 건물구축물, 기계장치, 선박차량운반구, 기구*비품, 건설 중인 자산 등 형체가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.
- 무형자산 ( Intangible assets ) : 물적 실체가 없는 고정자산으로 이 자산을 소유함으로써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 ex) 영업권 ( good-will )
[ 부채 (Liabilities) ]
- 유동부채 ( Current liability ) :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채무.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, 금전채무, 일반적으로 기한 1년이내 단기차입금, 미지급금, 미지급비용, 선수금, 예수금, 충당금 등.
- 매입채무 ( Accounts payable ) : 기업의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재화와 용역 등을 외상으로 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채무
- 단기차입금 ( Short-term borrowings ) : 대차대조표의 작성일(결산일)을 기산일로 하여 변제기한이 1년이내에 도래하는 차입금
- 선수수익 ( Deferred liability ) : 이미 수입되어 수익으로 기장된 것 중에서 발생주의에 근거한 기간 손익계산의 관점에서 당해기간의 수익으로 인정할 수 없는 초과 부분
- 비유동부채 ( Non-Current liability ) : 기업의 부채 중 유동성을 충족하지 않는 모든 부채를 말하며, 일반적으로 지불 기한이 1년을 초과하는 부채. 사채, 장기차입금, 장기 매입채무, 임대보증금, 퇴직급여 충당부채, 이연법인세 부채 등
[ 자본 (Capital) ]
- 자본금 ( Paid in capital ) : 기업의 소유자 또는 소유자라고 생각되는 자가 사업의 밑천으로 기업에 제공한 금액
- 자본잉여금 ( Additional paid-in capital ) : 회사의 영업이익 이외의 원천(자본거래로 인하여 발생)에서 발생하는 잉여금
- 이익잉여금 ( Retained earnings ) : 기업이 손익거래를 한 결과 나타난 잉여금 중 사외유출분을 제외하고 사내에 유보된 이익
손익계산서 (Income Statement)
: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 (이익, 수익, 비용)
- 이익 = 수익 - 비용
- 수익 = 비용 + 이익
여기서 말하는 수익은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영업활동의 결과로 자본이 증가하는 원인
반대로 비용은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영업활동의 결과로 자본이 감소하는 원인
- 총매출 (Total net sales): 제품매출과 서비스 매출의 합. (해당 분기에 895억달러)
- 영업비용 (Operating expenses): 연구 및 개발(R&D)과 마케팅비용, 판매 및 관리비용 등 기타 영업비용 포함
- 매출총이익 (Gross Margin): 총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이익.
- 영업이익 (Operating Income): 매출총이익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수익.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나타냄.
- 당기순이익 (Net Income = Earning): 세전이익에서 세금 비용을 차감한 이후의 순수 이익. 기업이 실제로 얻은 순수한 수익을 의미함.
- 주당순이익 (Earnings Per Share, EPS):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. EPS는 시간에 따른 이익의 추이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, 기업 수익성을 주주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중요 지표임.
참고자료
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(2023년판) |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(상세) | 단행본 | 간행물 | 뉴스/자료
www.bok.or.kr
'Study > Fina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inance] 투자 지표 정리 - Sharpe, Sortino and Carmlar Ratios, MDD (3) | 2024.10.18 |
---|---|
[Finance] 포트폴리오 평가 지표 설명(CAGR, Sharpe Ratio, MDD) (0) | 2024.09.27 |
[Finance] 주식 모멘텀 (7) | 2024.09.20 |